HOME
이전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서비스 화면입니다. 첫사용을 환영합니다!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 서비스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서비스화면 구성입니다.

1사업검색 화면 메뉴 영역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.
- 주소검색, 분석도구, 레이어정보, 지도부가활용기능
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 서비스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서비스화면 구성입니다.

2 레이어 정보는 EIASS구축, API연계로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.
- EIASS구축 (환경평가지리정보, 수생태계건강성조사, 백두대간(정맥))
- API연계 (토지이용규제지리정보, 환경지리정보, 국토/토지지리정보, 문화재지리정보, 해양지리정보)
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 서비스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서비스화면 구성입니다.

3 지도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부가기능을 아래와 같이 제공합니다.
- 거리측정, 면적측정, 초기화, 인쇄, 정보, 이미지 추가, 메모, 지도변경, 축척변경

사업검색 기능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사업검색 화면입니다.

1사업명, 사업코드, 사업지주소, 사업자, 협의기관명 등을 입력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하여 검색을 진행합니다.
* 키워드 입력 없이 검색버튼 클릭 시 전체 사업이 검색됩니다

사업검색 기능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사업검색 화면입니다.

2검색한 결과의 사업 리스트가 호출이 되며 사업명을 클릭 시 해당 사업의 상세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사업검색 기능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사업검색 화면입니다.

3사업명 클릭 시 해당 사업지의 지역으로 화면을 이동시킵니다.

사업검색 기능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사업검색 화면입니다.

4선택한 사업의 환경영향평가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표현합니다.
- 기본정보, 상세정보, 검토서작성정보, 협의진행현황, 초안 공람, 결정내용공개, 주민의견수렴, 원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해당 정보는 EIASS에서도 동일하게 확인 가능합니다.

사업검색 기능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사업검색 화면입니다.

5▼ 버튼 클릭 시 목록 화면을 내릴 수 있습니다.

‌레이어정보 기능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레이어정보 화면입니다.

1레이어정보는 EIASS구축과 API연계로 구분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- EIASS구축은 환경영향평가서에 제시된 사업지 위치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.
- API연계는 타부처 및 기관의 OpenAPI 연계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입니다.

‌레이어정보 기능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레이어정보 화면입니다.

2+ / - 버튼을 클릭하여 하위 목록을 펼치거나 닫을 수 있습니다.

‌레이어정보 기능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레이어정보 화면입니다.

3체크박스를 클릭하여 체크하면 선택한 레이어를 지도 위에 활성화 하거나 체크를 해제하여 선택된 레이어를해제할 수 있습니다.
*지도 위 사업지 클릭 시 해당 사업정보 조회가 가능합니다.

‌레이어정보 기능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레이어정보 화면입니다.

4선택정보화면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된 레이어를 한번에 확인 및 제거할 수 있습니다.

‌레이어정보 기능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레이어정보 화면입니다.

4선택정보화면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된 레이어를 한번에 확인 및 제거할 수 있습니다.

‌레이어정보 기능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레이어정보 화면입니다.

5? 버튼 클릭 시 레이어의 갱신일 및 제공처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… 버튼 클릭 시 해당 레이어의 범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‌레이어정보 기능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레이어정보 화면입니다.

5? 버튼 클릭 시 레이어의 갱신일 및 제공처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… 버튼 클릭 시 해당 레이어의 범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1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토지이용분석 화면입니다.

1공간분석 구분 중 토지이용분석을 선택합니다.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1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토지이용분석 화면입니다.

2그리기분석 버튼을 클릭 시 지도 위 공간분석을 할 수 있는 선택기능을 활성화 합니다.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1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토지이용분석 화면입니다.

3분석할 영역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영역을 지정합니다.
* 영역지정을 끝낼 경우에는 마우스를 더블클릭합니다.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1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토지이용분석 화면입니다.

4분석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지역을 분석 후 분석결과 정보를 다음과 같이 화면에 표현합니다.
- 용도지역 검색결과 (구분, 면적㎡, 비율%)
- 용도지구 검색결과 (구분, 면적㎡, 비율%)
- 타법에 의한 구역 검색결과(구분, 면적㎡, 비율%)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2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표고분석기능 화면입니다.

1공간분석 구분 중 표고분석을 선택합니다.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2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표고분석기능 화면입니다.

2그리기분석 버튼을 클릭 시 지도 위 공간분석을 할 수 있는 선택기능을 활성화 합니다.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2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표고분석기능 화면입니다.

3분석할 영역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영역을 지정합니다.
* 영역지정을 끝낼 경우에는 마우스를 더블클릭합니다.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2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표고분석기능 화면입니다.

4분석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지역을 분석 후 분석결과 정보를 다음과 같이 화면에 표현합니다.
- 분석결과 (구분, 면적㎡, 비율%)
- 분석 결과 범례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3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경사도분석 기능 화면입니다.

1공간분석 구분 중 경사도분석을 선택합니다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3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경사도분석 기능 화면입니다.

2그리기분석 버튼을 클릭 시 지도 위 공간분석을 할 수 있는 선택기능을 활성화 합니다.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3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경사도분석 기능 화면입니다.

3분석할 영역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영역을 지정합니다.
* 영역지정을 끝낼 경우에는 마우스를 더블클릭합니다.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3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경사도분석 기능 화면입니다.

4분석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지역을 분석 후 분석결과 정보를 다음과 같이 화면에 표현합니다.
- 분석결과 (구분, 면적㎡, 비율%)
- 분석 결과 범례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4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능선분할분석 기능 화면입니다.

1공간분석 구분 중 능선분할분석을 선택합니다.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4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능선분할분석 기능 화면입니다.

2그리기분석 버튼을 클릭 시 지도 위 공간분석을 할 수 있는 선택기능을 활성화 합니다.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4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능선분할분석 기능 화면입니다.

3분석할 영역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영역을 지정합니다.
* 영역지정을 끝낼 경우에는 마우스를 더블클릭합니다.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4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능선분할분석 기능 화면입니다.

4분석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지역을 분석 후 분석결과 정보를 다음과 같이 화면에 표현합니다.
- 분석결과 (구분, 면적㎡, 비율%)
- 분석 결과 범례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5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지형축분석 화면입니다.

1 공간분석 구분 중 지형축분석을 선택합니다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5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지형축분석 화면입니다.

2지형축분석 버튼을 클릭 시 지도 위 공간분석을 할 수 있는 선택기능을 활성화 합니다.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5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지형축분석 화면입니다.

3분석할 영역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영역을 지정합니다.
* 영역지정을 끝낼 경우에는 마우스를 더블클릭합니다.

그리기분석 기능화면 화면 구성(5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지형축분석 화면입니다.

4 분석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지역을 분석 후 분석결과 정보를 화면에 표현합니다.
(구분, 대분류, 소분류, 거리㎡)

지적분석 기능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지적분석 화면입니다.

1지적분석 버튼을 클릭 시 지적분석을 할 수 있는 화면을 호출합니다.

지적분석 기능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지적분석 화면입니다.

2조회 할 주소의 정보를 입력합니다.

지적분석 기능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지적분석 화면입니다.

3조회하기 버튼 클릭 시 하단에 검색 리스트가 나타나며 검색 주소를 클릭하면 해당 주소지로 지도화면이 이동합니다.

반경검색 기능 화면 구성(1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규제지역반경검색 기능 화면입니다.

1반경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.
* 공간분석(토지이용분석, 표고분석, 경사도분석, 능선분할분석, 지형축분석 후 검색이 가능합니다.)

반경검색 기능 화면 구성(1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규제지역반경검색 기능 화면입니다.

2반경검색 화면에서 규제지역을 선택하고 원하는 반경 거리를 입력합니다.

반경검색 기능 화면 구성(1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규제지역반경검색 기능 화면입니다.

3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석된 정보 결과를 표현합니다.
- 검색결과 위치 아이콘 클릭 시 해당 지역으로 지도화면이 이동합니다.

반경검색 기능 화면 구성(2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유사사업 반경검색 화면입니다.

1반경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.
* 공간분석(토지이용분석, 표고분석, 경사도분석, 능선분할분석, 지형축분석 후 검색이 가능합니다.)

반경검색 기능 화면 구성(2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유사사업 반경검색 화면입니다.

2반경검색 화면에서 유사지역을 선택하고 원하는 반경 거리를 입력합니다.

반경검색 기능 화면 구성(2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유사사업 반경검색 화면입니다.

3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석된 정보 결과를 표현합니다.
- 검색결과 위치 아이콘 클릭 시 해당 지역으로 지도화면이 이동합니다.

서비스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모니터링DB 화면입니다.

1주소검색기능은 주소로 확인하고자 하는 지역의 주소를 검색 할 수 있습니다.

서비스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모니터링DB 화면입니다.

2 레이어정보는 EIASS구축 사업지경계 및 조사지점 레이어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
서비스 화면 구성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모니터링DB 화면입니다.

3지도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부가기능을 아래와 같이 제공합니다.
- 거리측정, 면적측정, 초기화, 인쇄, 정보, 지도종류선택, 축척변경

사업검색 화면 구성(1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모니터링DB 사업검색 화면입니다.

1사업명, 사업코드, 사업자, 주소로 원하는 검색 결과를 선택하여 검색 버튼을 클릭하여 사업 검색을 진행합니다.
* 조건 없이 검색버튼 클릭 시 전체 사업이 검색됩니다.

사업검색 화면 구성(1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모니터링DB 사업검색 화면입니다.

2검색한 결과의 주소 리스트가 표현되며 주소 선택 클릭 시 해당 주소로 지도화면이 이동합니다.

사업검색 화면 구성(1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모니터링DB 사업검색 화면입니다.

3선택한 사업의 모니터링DB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아래와 같이 정보를 제공합니다.
- 개요정보, 대기질, 온실가스, 악취, 위생공중보건, 수질, 수리수문, 해양환경, 토지이용, 토양, 지형지질, 동식
물상, 친환경적자원순환, 소음진동, 인구주거

사업검색 화면 구성(2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엑셀 다운로드 화면입니다.

1대기질, 온실가스, 악취, 위생공중보건, 수질, 수리수문, 해양환경, 토지이용, 토양, 지형지질, 동식물상, 친환경
적자원순환, 소음진동, 인구주거 중 확인할 정보를 클릭합니다.

사업검색 화면 구성(2)
환경영향평가 지리정보서비스 엑셀 다운로드 화면입니다.

2엑셀다운로드 버튼 클릭 시 모니터링DB 해당 정보를 파일로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.

1. 현재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‘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현재데이터, 대기환경: ‘측정소 별 최종확정 농도조회’

1 환경영향평가 기초정보 > 환경지표 현황정보 메뉴를 클릭합니다

1. 현재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‘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현재데이터, 대기환경: ‘측정소 별 최종확정 농도조회’

2시/도, 구/군 , 읍/면/동을 순서대로 선택합니다.
- ex) 강원도 강릉시 옥천동

1. 현재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‘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현재데이터, 대기환경: ‘측정소 별 최종확정 농도조회’

3지표별 레이어 정보 선택 영역에서 현재데이터 대기환경 측정소 별 최종확정 농도조회를 선택합니다.

1. 현재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‘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현재데이터, 대기환경: ‘측정소 별 최종확정 농도조회’

4우측의 아이콘은 순서대로 지도서비스/데이터/링크정보의 제공여부를 나타내며, 아이콘이 비활성화(회색)인 경우 해당 정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.

1. 현재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‘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현재데이터, 대기환경: ‘측정소 별 최종확정 농도조회’

5적용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1. 현재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‘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현재데이터, 대기환경: ‘측정소 별 최종확정 농도조회’

6선택 레이어의 해당지역 정보 창이 팝업됩니다.

2. 기존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‘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기존데이터, 공공데이터(환경영향평가): ‘대기질 조사지점’

1환경영향평가 기초정보 > 환경지표 현황정보 메뉴를 클릭합니다.

2. 기존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‘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기존데이터, 공공데이터(환경영향평가): ‘대기질 조사지점’

2시/도, 구/군 , 읍/면/동을 순서대로 선택합니다.
- ex) 강원도 강릉시 옥천동

2. 기존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‘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기존데이터, 공공데이터(환경영향평가): ‘대기질 조사지점’

3지표 별 레이어 정보 선택 영역에서 기존데이터 공공데이터(환경영향평가) 대기질 조사지점을 선택합니다

2. 기존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‘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기존데이터, 공공데이터(환경영향평가): ‘대기질 조사지점’

4적용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

2. 기존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‘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기존데이터, 공공데이터(환경영향평가): ‘대기질 조사지점’

5선택 레이어의 해당지역 정보 팝업 표출

2. 기존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‘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기존데이터, 공공데이터(환경영향평가): ‘대기질 조사지점’

6선택 레이어의 해당지역 정보 창이 팝업됩니다.

3. 현재데이터 및 기존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
현재데이터: 대기환경: ‘측정소별 최종확정 농도조회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기존데이터, 공공 데이터(환경영향평가): ‘대기질 조사지점’

1 환경영향평가 기초정보 > 환경지표 현황정보 메뉴를 클릭합니다.

3. 현재데이터 및 기존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
현재데이터: 대기환경: ‘측정소별 최종확정 농도조회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기존데이터, 공공 데이터(환경영향평가): ‘대기질 조사지점’

2시/도, 구/군 , 읍/면/동을 순서대로 선택합니다.
- ex) 강원도 강릉시 옥천동

3. 현재데이터 및 기존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
현재데이터: 대기환경: ‘측정소별 최종확정 농도조회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기존데이터, 공공 데이터(환경영향평가): ‘대기질 조사지점’

3지표 별 레이어 정보 선택 영역에서 현재 데이터(대기환경의 측정소별 최종확정 농도조회) 기존 데이터(대기질조사지점) 를 선택합니다.

3. 현재데이터 및 기존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
현재데이터: 대기환경: ‘측정소별 최종확정 농도조회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기존데이터, 공공 데이터(환경영향평가): ‘대기질 조사지점’

4적용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3. 현재데이터 및 기존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
현재데이터: 대기환경: ‘측정소별 최종확정 농도조회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기존데이터, 공공 데이터(환경영향평가): ‘대기질 조사지점’

5선택 레이어의 해당지역 정보가 팝업됩니다.

3. 현재데이터 및 기존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
현재데이터: 대기환경: ‘측정소별 최종확정 농도조회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기존데이터, 공공 데이터(환경영향평가): ‘대기질 조사지점’

6선택한 현재데이터의 레이어와 데이터가 표출됩니다

3. 현재데이터 및 기존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
현재데이터: 대기환경: ‘측정소별 최종확정 농도조회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기존데이터, 공공 데이터(환경영향평가): ‘대기질 조사지점’

7선택한 기존데이터의 레이어와 데이터가 표출됩니다.

3. 현재데이터 및 기존데이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옥천동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
현재데이터: 대기환경: ‘측정소별 최종확정 농도조회’, 지표별 레이어정보 선택: 기존데이터, 공공 데이터(환경영향평가): ‘대기질 조사지점’

8현재데이터 및 기존 데이터를 각 1개 이상 선택 시 3가지 탭(전체, 기존, 현재)으로 분류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사업상세 조회
사업명: 세종

1환경영향평가 기초정보 > 환경영향평가 현황정보 메뉴를 클릭합니다

1. 사업조회 – 사업상세 조회
사업명: 세종

2사업조회 탭을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사업상세 조회
사업명: 세종

3사업명 입력란에 “세종”을 입력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사업상세 조회
사업명: 세종

4상세조건 > 소규모환경영향평가 > 전체선택 > 환경영향평가 > 전체선택 >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사업상세 조회
사업명: 세종

4상세조건 > 소규모환경영향평가 > 전체선택 > 환경영향평가 > 전체선택 >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사업상세 조회
사업명: 세종

5환경영향평가, 소규모환경영향평가, 통합조회 탭으로 구분되어 목록이 나타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사업상세 조회
사업명: 세종

6 사업목록 내 지도 아이콘(우측)을 클릭하면 해당 사업 위치로 이동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사업상세 조회
사업명: 세종

7 지도에 표시된 폴리곤(사업위치 도형표기부분)을 클릭하면 상세 조회창이 팝업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사업상세 조회
사업명: 세종

8사업상세 조회/협의내용 조회/초안검토의견 조회를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사업상세 조회
사업명: 세종

9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팝업이 표출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사업상세 조회
사업명: 세종

9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팝업이 표출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1환경영향평가 기초정보 > 환경영향평가 현황정보 메뉴를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2사업조회 탭을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3사업명 입력란에 “세종”을 입력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4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5 조회를 원하는 사업의 체크박스를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6선택사업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7사업통합 조회 팝업이 표출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7사업통합 조회 팝업이 표출됩니다.

2. 지역조회 - 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

1 환경영향평가 기초정보 > 환경영향평가 현황정보 메뉴를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2지역조회 탭을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3 시/도, 구/군 , 읍/면/동을 순서대로 선택합니다.
- ex)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4상세조건 > 소규모환경영향평가 > 전체선택 > 환경영향평가 > 전체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4상세조건 > 소규모환경영향평가 > 전체선택 > 환경영향평가 > 전체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5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6 환경영향평가, 소규모환경영향평가, 통합조회 탭으로 구분되어 사업별 목록이 표출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7사업목록 내 지도 아이콘(우측) 클릭하면 해당 사업 위치로 이동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8지도에 표시된 폴리곤(사업위치 도형표기부분)을 클릭하면 상세 조회 팝업이 표출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9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를 클릭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10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팝업이 표출됩니다.

1. 사업조회 – 선택사업 조회
사업명: 세종

10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팝업이 표출됩니다.

3. 그리기 조회 - 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
그리기조회: “”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근방” 그리기 검색

1환경영향평가 기초정보 > 환경영향평가 현황정보 메뉴를 클릭합니다.

3. 그리기 조회 - 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
그리기조회: “”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근방” 그리기 검색

2그리기조회 탭을 클릭합니다.

3. 그리기 조회 - 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
그리기조회: “”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근방” 그리기 검색

3그리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지도에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근처를 마우스 클릭으로 선택, 더블클릭 시 그리기가 종료됩니다.

3. 그리기 조회 - 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
그리기조회: “”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근방” 그리기 검색

4 상세조건 버튼을 클릭하고,
- 소규모환경영향평가 전체선택 버튼 클릭, 환경영향평가 전체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.

3. 그리기 조회 - 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
그리기조회: “”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근방” 그리기 검색

4상세조건 버튼을 클릭하고,
- 소규모환경영향평가 전체선택 버튼 클릭, 환경영향평가 전체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.

3. 그리기 조회 - 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
그리기조회: “”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근방” 그리기 검색

5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3. 그리기 조회 - 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
그리기조회: “”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근방” 그리기 검색

6환경영향평가, 소규모환경영향평가, 통합조회 탭으로 구분되어 사업별 목록이 표출됩니다.

3. 그리기 조회 - 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
그리기조회: “”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근방” 그리기 검색

7사업목록 내 지도 아이콘(우측) 클릭하면 해당 사업 위치로 이동합니다.

3. 그리기 조회 - 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
그리기조회: “”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근방” 그리기 검색

8지도에 표시된 폴리곤(사업위치 도형표기부분) 클릭하면 상세 조회 팝업이 표출됩니다.

3. 그리기 조회 - 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
그리기조회: “”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근방” 그리기 검색

9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를 클릭합니다.

3. 그리기 조회 - 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
그리기조회: “”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근방” 그리기 검색

10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팝업이 표출됩니다.

3. 그리기 조회 - 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
그리기조회: “”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근방” 그리기 검색

10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팝업이 표출됩니다.

shp파일 조회 (1/2)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파일 업로드

1 환경영향평가 > 기초정보 환경영향평가 현황정보 메뉴를 클릭합니다.

shp파일 조회 (1/2)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파일 업로드

2shp파일조회 탭을 클릭합니다.

shp파일 조회 (1/2)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파일 업로드

3파일 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.

shp파일 조회 (1/2)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파일 업로드

5선택한 shp 파일이 업로드 창에 표시됩니다.

shp파일 조회 (1/2)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파일 업로드

6상세조건버튼을 클릭합니다.
- 소규모환경영향평가 전체선택 버튼 클릭, 환경영향평가 전체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.

shp파일 조회 (1/2)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파일 업로드

7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shp파일 조회 (1/2)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파일 업로드

7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shp파일 조회 (1/2)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파일 업로드

8shp업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.

shp파일 조회 (2/2)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파일 업로드

1업로드한 shp파일의 좌표범위에 해당하는 사업이 지도에 표시됩니다.

shp파일 조회 (2/2)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파일 업로드

2환경영향평가, 소규모환경영향평가, 통합조회 탭으로 구분되어 사업별 목록을 표출합니다.

shp파일 조회 (2/2)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파일 업로드

3사업목록 내 지도 아이콘(우측) 클릭하면 해당 사업 위치로 이동합니다.

shp파일 조회 (2/2)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파일 업로드

4지도에 표시된 폴리곤(사업위치 도형표기부분) 클릭하면 상세 조회 팝업이 표출됩니다.

shp파일 조회 (2/2)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파일 업로드

5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 클릭 시 해당 내용 팝업창이 표출됩니다.

shp파일 조회 (2/2)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파일 업로드

5사업상세/협의내용/초안검토의견 조회 클릭 시 해당 내용 팝업창이 표출됩니다.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1환경영향평가 > 기초정보 환경영향평가 분포현황 메뉴를 클릭합니다.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2지역조회 탭을 클릭합니다.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3시/도, 구/군 , 읍/면/동을 순서대로 선택합니다.
- ex)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4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5환경영향평가, 소규모환경영향평가 탭으로 구분하여 표출됩니다.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6평가 구분 별 사업 건수가 표시됩니다.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7연도별 사업건수가 막대그래프로 표시됩니다.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8지도에 평가 분야 별 색상으로 표출됩니다.

‌2. 그리기 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일대

1환경영향평가 > 기초정보 환경영향평가 분포현황 메뉴를 클릭합니다.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2그리기조회 탭을 클릭합니다.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3그리기 버튼을 클릭 후 지도에 강원도 강동면 일대 지역을 그려서 클릭으로 선택, 더블클릭 시 그리기가 종료 됩니다.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4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5환경영향평가, 소규모환경영향평가 탭으로 구분하여 표출됩니다.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6평가 구분 별 사업 건수가 표시됩니다.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7연도별 사업건수가 막대그래프로 표시됩니다.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8특정 사업 구분 선택 시(ex) 체육시설설치)

1. 지역조회
지역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, 구분: 환경영향평가

10지도에는 평가 분야 별 색상이 표출됩니다.

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 파일 업로드

1환경영향평가 > 기초정보 환경영향평가 분포현황 메뉴를 클릭합니다.

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 파일 업로드

2shp파일조회 탭을 클릭합니다.

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 파일 업로드

3파일 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.

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 파일 업로드

4파일선택 팝업 창에서 업로드 대상 shp 파일 선택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.

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 파일 업로드

5 선택한 shp 파일이업로드 창에 표시됩니다.

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 파일 업로드

6shp업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.

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 파일 업로드

7평가 구분 별 사업 건수가 표시됩니다.

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 파일 업로드

7평가 구분 별 사업 건수가 표시됩니다.

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 파일 업로드

8지도에 평가 분야 별 색상이 표출됩니다.

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“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” 근방 shp 파일 업로드

8지도에 평가 분야 별 색상이 표출됩니다.

기초정보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산 218-1’ 선택

1사전검토사항 조사지원 > 기초정보 메뉴를 선택합니다.

기초정보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산 218-1’ 선택

3시/군, 구/군, 읍/면/동 선택 및 지번(본번, 부번)을 입력 후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ex)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1

기초정보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산 218-1’ 선택

4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기초정보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산 218-1’ 선택

5주소가 리스트에 출력됩니다.
- 조회하고자 하는 주소지를 선택

기초정보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산 218-1’ 선택

6해당 주소지로 지도가 이동됩니다.

기초정보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산 218-1’ 선택

7사전검토사항 레이어를 선택합니다.

기초정보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산 218-1’ 선택

8분석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기초정보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산 218-1’ 선택

9분석결과가 팝업으로 표출됩니다.

기초정보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산 218-1’ 선택

9분석결과가 팝업으로 표출됩니다.

기초정보 - 2. 그리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일대 그리기 선택

1사전검토사항 조사지원 > 기초정보 메뉴를 선택합니다.

기초정보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산 218-1’ 선택

2그리기조회 탭을 선택합니다.

기초정보 - 2. 그리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일대 그리기 선택

3그리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기초정보 - 2. 그리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일대 그리기 선택

4지도에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일대 지역을 그려서 선택, 더블 클릭 시 그리기가 종료됩니다.

기초정보 - 2. 그리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일대 그리기 선택

5사전검토사항 레이어를 선택합니다.

기초정보 - 2. 그리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일대 그리기 선택

6분석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기초정보 - 2. 그리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일대 그리기 선택

7분석결과가 팝업으로 표출됩니다.

기초정보 - 2. 그리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일대 그리기 선택

7분석결과가 팝업으로 표출됩니다.

기초정보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1사전검토사항 조사지원 > 기초정보 메뉴를 선택합니다.

기초정보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2shp파일조회 탭을 클릭합니다.

기초정보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3파일 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.

기초정보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4 파일선택 팝업 창에서 업로드 대상 shp 파일 선택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.

기초정보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5선택한 shp 파일이 업로드 창에 표시됩니다.

기초정보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6 shp업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.

기초정보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7사전검토사항 레이어에서 ‘수질보호를위한규제지역_공장설립승인지역(2호)’ 를 선택합니다.

기초정보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8분석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기초정보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9팝업창에 분석 결과가 출력됩니다.

기초정보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9팝업창에 분석 결과가 출력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1사전검토사항 조사지원 > 사전검토사항 메뉴를 선택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2지역조회 탭을 선택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3시/군, 구/군, 읍/면/동 선택 및 지번(본번, 부번)을 입력 후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ex)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1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4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5주소가 리스트에 출력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6조회하고자 하는 주소지를 선택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7평가항목 검토 또는 입지 검토 선택 후 분석 버튼을 클릭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8분석결과가 팝업으로 표출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8분석결과가 팝업으로 표출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2. 그리기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’ 일대(삼곡항) 그리기 선택

1사전검토사항 조사지원 > 사전검토사항 메뉴를 선택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2그리기조회 탭을 선택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3그리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4지도에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 일대 지역을 그려서 선택, 더블 클릭 시 그리기가 종료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5평가항목 검토 또는 입지 검토 선택 후 분석 버튼을 클릭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6분석결과가 팝업으로 표출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1. 지역 조회
지역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삼곡리 159-11’ 선택

6분석결과가 팝업으로 표출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1사전검토사항 조사지원 > 사전검토사항 메뉴를 선택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2shp파일조회 탭을 선택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3파일 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4파일선택 팝업 창에서 업로드 대상 shp 파일 선택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5선택한 shp 파일이 업로드 창에 표시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6shp업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7평가항목 검토 또는 입지 검토 선택 후 분석 버튼을 클릭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8분석결과가 팝업으로 표출됩니다.

사전 검토 사항 - 3. shp파일 조회
shp파일: ‘강원도 강릉시 강동면’근방 shp 파일 업로드

8분석결과가 팝업으로 표출됩니다.